Working languages:
Korean to English

mr_gritty
Satisfaction guaranteed or money back!

Bethesda, Maryland
Local time: 01:29 EDT (GMT-4)

Native in: English Native in English
Feedback from
clients and colleagues

on Willingness to Work Again info

This service provider is not currently displaying positive review entries publicly.

No feedback collected
Account type Freelance translator and/or interpreter
Data security Created by Evelio Clavel-Rosales This person has a SecurePRO™ card. Because this person is not a ProZ.com Plus subscriber, to view his or her SecurePRO™ card you must be a ProZ.com Business member or Plus subscriber.
Affiliations This person is not affiliated with any business or Blue Board record at ProZ.com.
Services Translation, Interpreting, Editing/proofreading, Voiceover (dubbing), Subtitling
Expertise
Specializes in:
Cinema, Film, TV, DramaEconomics
Government / Politics
Rates
Korean to English - Rates: 0.05 - 0.15 USD per character / 10 - 40 USD per hour

KudoZ activity (PRO) PRO-level points: 4, Questions answered: 1
Payment methods accepted Visa, MasterCard, Check
Portfolio Sample translations submitted: 2
Korean to English: Lecturers
General field: Social Sciences
Source text - Korean
요즘 대학에서 인문․ 사회과학 분야를 가르치는 사람들은 하나의 강박증을 가진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바로 재미있게 강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기득권을 가지지 못한 군소대학에서 재미없는 강의는 곧바로 퇴출로 연결된다. 그래서 군소대학의 주변부에 있는 시간강사의 경우 강의가 재미있느냐의 여부는 생존과 직결된다. 이런 재미에 대한 집착을 꼭 학생들에 대한 아부라고 말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무엇이 진정으로 재미있는 것이냐”라는 문제는 따져 볼 필요가 있다.

지금“재미있다”라는 말이 마냥 좋은 뜻으로 쓰이는 것은 아니다. “재미있는 사람이야”라는 표현은 “좀 유별난 사람 또는 괴짜”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유별나지만 그다지 중요한 사람은 아니라는 뜻이 들어 있다. 강력하고 초지일관의 ‘카리스마’를 지닌 인물이라기보다는 잡동산이(雜同散異)와 같이 별스런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하지만 이런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함축과는 달리, 보다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의미가 있다. 즉 어떤 것이 재미있게 되는 것은 여태까지 보던 것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재미있는 것은 그동안 자연스럽게 여겼던 세상 보는 방식이 꼭 당연한 것만은 아닐지도 모른다는 의혹을 제기한다. 그것은 기존의 관점과는 차이가 있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며, 이전의 자리에 머물러 있으려는 자세에 도전장을 내민다. 무엇이 재미있다는 것은 기존의 관점이 동요하고 있다는 것, 그리고 다르게 변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런 “재미있음”은 상투성에 지루해하고 있는 태도에서 벗어나게 하고, 새로운 시각이 주는 생기를 불러일으킨다. 생생하게 관심이 부각되면서, 관심 대상에 된 것에 대해 말과 글로 표현이 이루어진다. 남의 뒷전에서 우왕좌왕하며 수군대던 이전의 잡동산이에 대한 관심과는 달리, 이번의 관심은 세상 보는 관점의 체계를 살펴보면서, 여러 가지 체계의 다양한 차이에 놀라워하는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체계를 비교하며, 그 관점의 현실적인 득실(得失)을 따지는 것 또한 인간에 대한 관심이 베풀어주는 커다란 재미라고 할 만하다.
Translation - English
I get the feeling that there is a certain compulsion taking hold amongst those that teach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hey feel that their lecture has to be “fun” (entertaining). This is particularly true of the smaller colleges that do not take for granted certain vested rights, meaning one boring lecture could quickly lead to a foot out the door. As a result, in the case of those by-the-hour lecturers near such smaller schools, the fun factor of the lecture is directly tied to the survival of the lecturer. There is no need to view this kind of obsessive pressure to entertain as some kind of sycophancy towards the students; however, there is a need to examine what it should mean to be “properly entertaining.”

We do not always use the term “entertaining” in a completely positive sense. To call someone a “funny fella” essentially means he is strange or out-of-the-ordinary. In other words, this person is different, but probably not all that important. Such a person is not likely to be seen as a strong, purposeful individual with charisma, but rather more as some strange piece of junk rubbish

To be “fun” (entertaining) is to make another individual question the world that he had earlier been taken for granted. A new perspective emerges from the original position, and challenges head-on the old stagnant attitude. To say something is “fun” is to mean that the status quo is disturbed, and is a demonstration of the possibility for change.

This type of “entertainment” is one that allows for the escape from the stagnant attitude, and breathes life force into new visions. Interest is vividly aroused, and the object of interest compels some expression by the individual through words both verbal and written. Unlike the muddled and confused interest in fickle rubbish of the previous state, this new-found interest examines the old system by which one had viewed and understood the world, and allows one to find new-found wonderment in the dynamic differences that exist between such systems. And I think it is true to state that this kind of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ces is in itself its own kind of “fun” that life provides from out of our interest in fellow humanity.
Korean to English: 일제강점 말기 친일소설 연구 (Pro-Japanese Literature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General field: Art/Literary
Detailed field: History
Source text - Korean
본 논문은 한국 현대문학사에서 암흑기 또는 공백기라고 불리는 일제강점 말기에 주목하고자 한다. 일제의 국책에 협력하였던 친일소설을 대상으로 소설 속에 나타난 친일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친일소설의 총체적인 이해와 함께 한국 현대문학사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 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을사조약과 경술국치 그 이전부터 등장하였던 친일 세력들은 1930년대 중반에 들어서자 급증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1937년 중일전쟁 이후 일본 의 제국주의적 지배가 더욱 노골적인 형태로 진행되자 일제의 전쟁수행을 위한 총력체제 구축을 독려하면서 본격적인 친일적 면모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조선의 문학인들이 집중적으로 친일 파시즘의 길로 들어서게 된 계기는 1938년 10월에 있었던 무한 삼진의 함락 사건과 1940년 6월에 일어난 파리의 함락 사건 이후에 연이어 선포된 신체제론 때문이다. 무한 삼진의 함락으로 인한 ‘동양협동체’의 부상과 파리 함락으로 인한 서구 근대의 몰락은 많은 조선의 지식인들이 일본 중심의 신체제가 실제로 가능할 것이라고 믿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혼란으로 많은 조선의 문인들이 혼란에 빠져있을 때, 다른 한편에서는 일본을 동양 사회의 중심으로 받아들이고 비민족적이면서 일제의 정책을 적극적으로 협조하는 작가들에 의해 많은 작품들이 쓰여졌다. 이때 친일소설도 다수 쓰여지게 되었다.

친일소설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에 따라 민족의 주체성을 근원적으로 부정하면서 일본정신인 황도사상을 적극 찬양․고취하고, 일제의 내선일체에 입각한 황국신민화 정책을 비호․선양하고자 하는 경우와 일제의 침략 전쟁을 동양의 평화와 해방이라는 것으로 미화하여 정당화시키고, 한 민족의 전쟁 참여를 선동․고무하는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때 전자는 일본정신 내지 이념을 찬양하여 일제의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 황도소설이며, 후자는 전시체제에 따른 일제의 침략 전쟁을 합리화시키기 위한 목적을 지닌 전쟁소설이다. 특히 이광수는 일본 신체제 이념 중에서 내선일체에 가장 관심을 보는데, 그에게 내선일체란 순순한 일본인이 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창씨개명을 하고 일본식 생활양식을 전적으로 받아들이고 일본인과 통혼하며 일본인과 동일한 권리를 누리기 위해 자원입대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인택은 “싸움에 앞장 서라”, “나라를 위해 죽어라”와 같이 극단적인 군인정신을 강조하고 전쟁을 미화시켰다. 최정희는 전시하에서 애국반장 등 후방에서의 생활태도와 군국의 어머니로서의 여성을 주로 그려 전쟁동원의 이데올로기를 충실히 반영하였다.

친일소설은 우리의 부끄러운 모습이기도 하지만 그 동안 한국 현대문학사에서 일제강점 말기의 암흑기 또는 공백기를 채워준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하겠다.
Translation - English
The thesis focuses on the end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over Korea, a period often considered the dark ages of the moder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Specifically, the thesis will examine Chin-il (pro-Japanese) novels, products of literary collaborations with the Japanese, in order to see the ways in which Japanophilism finds manifestation within, and through this process more fully understand the novels and their meaning within the context of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Pro-Japanese sentiment had occasionally reared its head even before the Eulsa Treaty in 1905 or the 1910 Japan-Korea Annexation Treaty, but experienced a tangible surge beginning in the mid-1930s. The Pro-Japanese tide began its rise with the 1937 Japan-China War, when Japan’s imperialistic motivations became fully evident in their preparations for full-scale war. The reason for the sudden conversion of Chosun scholars to Japanese fascism can be found within the growing calls for a Japan-centered Pan-Asian bloc that followed the fall of Wuhan in October 1938 and the fall of Paris in 1940. The fall of Wuhan and France gave credence to the idea of a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and led Chosun intellectuals to believe in its possibility. While social disarray left many of Chosun’s literary figures in a state of confusion, there were disloyal others that accepted Japan as Asia’s center and wrote many literary works in collaboration with the Japanese. It was at this time that most of the Chin-il novels were written.

The inherent message that the Chin-il novel aims to deliver can be broken down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of which involves the core denial of any subjective importance of one’s ethnic race, the glorificat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Heavenly Sovereign”, and the defense of Japanese “Imperial Citizen Forming” policies aimed at Korean assimilation into Japan. The second message embellishes Japanese military aggression as acts for the peace and freedom of the East, and encourages colony participation in Japan’s wars. The first category finds physical manifestation in the form of imperial novels that aim to justify colony rule by praising the inherent Japanese ideology driving it; the latter in the form of war novels that aim to justify Japanese wartime acts of aggression. Among Japan’s “new order” principles, Lee Gwang-soo showed particular interest in the idea of “Naesun-ilchae” (Korea and Japan as one body) which, for him, in essence simply implied becoming Japanese through such measures as: Changssi-gaemyung (taking a Japanese name), adopting the Japanese lifestyle, marrying a Japanese woman, and volunteering to enlist in the military—all of these things in order to enjoy equal rights as the Japanese. Jung In-taek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military mindset and glorified war by encouraging frontline fighting and the sacrifice of dying for the country. Choi Jung-hee contributed to the wartime mobilization ideology through her portrayals of female figures in various wartime roles.

While Chin-il novels represent an embarrassing moment in Korea’s history, at the same time they help to fill the gap that exists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late phase of Japanese imperialism in Korea.

Experience Years of experience: 19. Registered at ProZ.com: Sep 2010.
ProZ.com Certified PRO certificate(s) N/A
Credentials N/A
Memberships N/A
Software Microsoft Excel, Microsoft Office Pro, Microsoft Word, Trados Studio
Bio
No content specified
Keywords: translation, Korean, Korea, Ivy League, English, politics, government, finance, translator, interpreter. See more.translation, Korean, Korea, Ivy League, English, politics, government, finance, translator, interpreter, Maryland, Rockville, Bethesda, Washington D.C.. See less.


Profile last updated
Sep 27, 2010



More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Korean to English   More language pai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