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ing languages:
Korean to English
English to Korean

media2media

Seoul, South Korea
Local time: 18:28 KST (GMT+9)

Native in: English (Variant: US) Native in English, Korean (Variant: South Korea) Native in Korean
  • PayPal accepted
  • Send message through ProZ.com
Feedback from
clients and colleagues

on Willingness to Work Again info
No feedback collected
Account type Freelance translator and/or interpreter
Data security Created by Evelio Clavel-Rosales This person has a SecurePRO™ card. Because this person is not a ProZ.com Plus subscriber, to view his or her SecurePRO™ card you must be a ProZ.com Business member or Plus subscriber.
Affiliations This person is not affiliated with any business or Blue Board record at ProZ.com.
Services Translation, Editing/proofreading, Website localization, Voiceover (dubbing), Project management, Operations management
Expertise
Specializes in:
Poetry & LiteratureBusiness/Commerce (general)
Cinema, Film, TV, DramaMedia / Multimedia
Government / Politics

Rates

Portfolio Sample translations submitted: 3
Korean to English: Korean novel published in the U.S. - author Kim Youngha
General field: Art/Literary
Detailed field: Poetry & Literature
Source text - Korean
책이름: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아무도 (김영하 저, 김태성(Terence Kim) 역)
Translation - English
Following are the first 3 pages of the novel:

It was like any other ordinary day, the subway commute jam-packed and the air inside the crowded carriage reeking worse and worse as the stale odor from wet umbrellas went head-to-head with people’s rank breaths. Amidst the admixture of din and odor, the man next to Sookyung had somehow accomplished the singular feat of nodding off standing up, his hand gripped tightly around the swaying plastic handle from above. In this semi-comatose state, the man could have no idea that his umbrella was nudging Sookyung’s calf with each lurch of the car, and as much as she tried squirming out of its way she found the effort useless and was left to merely shake her head in resignation. As sort of a remedy she, in a very small voice, quiet enough so that no one could overhear it, intoned, This is nothing, and anyway, life is being able to roll with things. And so I must endure, even if some wet umbrella keeps rubbing against my skin. Immediately she felt better about the matter, but just so she wouldn’t lapse in to despair, she kept repeating the words like some mantra: Life, wet umbrella, skin, endure. Life, wet umbrella, skin, endure…
As the subway doors parted with a swish, Sookyung shouldered her way past the two rigid male torsos standing like sentries just inside the door, barely making past them to the platform. Whew! Unconsciously she let out a sigh of relief then moved toward a large sign that said “Hwehyun Station” to take a seat beneath it on a plastic bench. From her purse she pulled out a lavender-colored planner and began to write down what she’d been reciting to herself just now. Life is…Wet umbrella…Endure… Inside her planner lay countless epigrams in tiny script like scattered shells on a white-sand beach. While some of them were copies from books many were of her own making, such as was today’s; she never made it a point to distinguish them, for she realized with the passage of time it got so that she wasn’t able to tell which was which, anyway. For example, she really couldn’t remember if “Love while there’s time. Love even harder when there’s not time enough” had been by her or whether she had picked it up from some place else. Replacing the planner back inside her purse, she began walking toward the exit, her heels clacking all the way up the platform stairs.
The last set of exiting commuters having already passed through, the exit gate area was close to empty. She retrieved her subway card and was about to pass it through the electronic detector when she noticed a man on the other side staring at her. These new exit gates these days were made so that it was hard to tell whether you were supposed to enter or exit through it. The fact was that they were designed so that you could do either, come in or come out. They probably figured it would be the best way to handle fluctuating traffic, but sometimes the result was an awkward impasse where people on opposite sides stood uneasily, unable to decide who should go first.
Sookyung stepped back and signaled for the guy to go ahead first, but to her surprise he simply stood fixed to the spot, ignoring the invitation and no hint of whether he might move over to another gate. As he continued dumbly gazing at her, she felt a sudden current of inexplicable exhilaration shooting through her, like when you’re blasted with a cool air on entering a shopping mall, and realized herself also unable to move. The man looked like he was in his early twenties; his eyes were gifted with the crystal clear vision of the innocent, like some otherworldly character in a fairy tale head-over-heels in love with a girl; the kind of man who is so deep in love that he would forgive and understand even her betrayal, the kind who says (despite knowing it would never happen) to her to come back anytime when she tires of the other man, the kind who promises to always be a place of respite for her. This was their language, she thought, those of the innocents, no matter that the place of respite was only an ideal and that the beautiful and lovely maiden never returned.
Rousing herselk her momentary musing Sookyung quickly moved over to the next gate and escaped through one of the other portals. The man, who had been staring at her all the while, began after her albeit haltingly. Naturally her pace quickened, though the truth was that she wasn’t really panicked, for this wasn’t the first time something of the kind had happened to her. Years before, one such chance meeting had led to her to go as far as accepting a coffee invitation from a complete stranger, but that, in the end, had ended poorly, the man turning out to be a complete insufferable as he was unable to contain overexcitement about his little conquest or adventure that he thought he had achieved when she’d agreed to see him. But such misgivings aside, she was not above worrying about how she might appear from behind as she hopped down the station stairs toward her building which was now only a hundred yards away. No, he didn’t seem like the unsavory type, and anyway, even if he was, we’re in the middle of a morning rush hour, in broad daylight. Nothing really to be concerned about, she told herself. Then she slowed down to catch her breath but the man was suddenly upon her, blocking her path. What choice did she have but to pretend to be put off?
Yes, what is it?
Korean to English: Korean cartoon sold to Netherlands (story summary and plot summary for the last 2 episodes only)
General field: Other
Detailed field: Cinema, Film, TV, Drama
Source text - Korean
만화: 부루와 숲속 친구들

글: 이우혁

도시 속에 위치한 시민공원 숲은 곤충들의 천국이다. 이 숲 속에는 노을마루라 불리는 수백년 된 고목이 있고 여러 곤충들과 유충들이 모여 살고 있다. 한편, 오염물질 때문에 크고 흉측해진 바퀴벌레 키리(악역)는 이 노을마루의 유충들을 얻으면 자신의 몸이 깨끗해질 수 있다고 믿고 호시탐탐 노을마루를 습격할 기회를 노린다. 그러나 노을마루를 지키는 왕거미 생각할아버지와 나비 아줌마, 장수풍뎅이 장풍이 등 착한 곤충들 때문에 번번히 실패를 거듭하고 있었다.
아파트 베란다의 사육상자에서 살던 사슴벌레 부루(주인공)가 강한 돌풍에 휘말린 뒤 시민공원 숲에 뚝 떨어지게 된다. 부루는 착한 마음씨에 아주 강한 힘을 가지고 있으나, 처음에는 낯선 환경 때문에 힘들어한다. 외로움과 배고픔에다 처음 보는 다른 친구들에게 오해를 사기도 하며, 부루가 가진 힘을 노린 키리와 그 부하인 집게벌레 짜가의 꾐에 빠지기도 한다. 하지만 착하고 힘센 부루는 결국 노을마루 친구들과 힘을 합쳐 키리에게서 벗어나고 동생들인 아기유충들의 수호자가 된다. 그 과정에서 부루는 자신도 모르게 회오리 바람을 일으키는 전설의 황금색 사슴벌레, 황금 대장으로 변신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부루는 노을마루 곤충친구들과 생활하며 그들의 도움으로 새 집을 갖게 되고, 곤충들의 축제와 운동회에도 참석하는 등, 함께 즐겁게 생활해간다. 그러면서 계속 쳐들어오는 키리 일당을 쳐부수는 용사로 성장해나간다.
한편, 키리 일당은 계속 당함에도 불구하고 포기하지 않고 사마귀인 갈퀴나 독나방, 길앞잡이 등 새로운 곤충 부하들을 모아 노을마루의 유충들을 노리며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숲속 곤충친구들의 신기하고 다양한 모습과 일화들이 소개되는 가운데, 부루는 물장군 여족장이 다스리는 습지에서 모험 등 여러 크고 작은 사건에 휘말리며 점점 숲의 영웅이 되어 간다. 그러다가 결국 키리는 하수구에 사는 전설적인 늑대거미 우르르의 힘을 빌리고... 원래부터 거대했던 우르르 또한 부루처럼 변신할 수 있는 무서운 적이라는 것이 밝혀지며 부루의 변신에 대한 비밀이 서서히 밝혀지는데...

25화 노을마루의 위기
우루루, 따거 뜨거 및 키리 일당과 바퀴벌레 등에게 노을마루로 총공격할것을 명령한다. 따거, 뜨거 및 키리일당이 쳐들어와서 노을마루에 큰 위기가 닥친다. 그러나 부루는 싸움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갈등한다. 그러나 생각할아버지와 나비 아줌마 등의 설득 및 깨달음을 통해 다시금 노을마루 편에 서서 변신해서 따거, 뜨거 등을 물리치는 부루. 오히려 따거 뜨거, 아카시아 등 쳐들어온 곤충들의 많은 수가 노을마루를 칠 생각을 버리고 우루루의 부하에서 탈퇴한다.

26화 마지막 싸움
우루루가 직접 출격한다. 노을마루로 쳐들어오는 우루루, 우루루의 부하였던 따거, 뜨거 등 모두가 오히려 노을마루쪽에 서서 우루루와 싸운다. 부루 또한 열심히 싸운다. 키리는 노을마루 편을 들지 않으나 막판에 모두의 협공으로 우루루를 절벽 까지 몰아세웠을 때, 키리와 부하들이 등장해서 힘을 보태고 가장 중요한 순간 키리가 다리를 걸어 우루루를 절벽 아래로 떨어뜨린다.(말이 절벽이지 곤충들 기준으로 볼때 절벽이며 아래에는 굉장히 강한 물살-일종의 수량 많은 하수도-이 흐르고 있어 쓸려 가면 영원히 돌아올 수 없다.) 우루루를 물리치고 노을마루에 평화가 온다. 모두들 일단 화해하지만 그렇다고 모두 노을마루 식구가 되는 것은 아니다. 새로운 모험을 기대하며 끝.
Translation - English
Cartoon: Buru and His Forest Friends

written by Lee Woohyuk

The park, located within a large residential development, serves as a haven for various kinds of bugs. Inside it, there is a very large and old tree called Noul Maroo where many of the bugs live together. In another part of the forest lives Hugo, a cockroach who was morphed into a hideous monster. He is constantly on the lookout to attack Noul Maroo because he is convinced that eating the larvae hidden there will cleanse him of his diseased body. But thanks to Grandpa the Thoughtful(a giant spider) Madame Nabi(a beautiful butterfly), Bambam(a rhinocerous beetle), and other good-hearted insects, his devious plans are foiled repeatedly.
The star of the show, Buru(a stag beetle) is blown out of his container box from an apartment balcony, where he had been captured and kept, toward the forest. Buru is kind and very strong, but as he tries to adapt to his new environment, he goes through some troubles. He has to fight off loneliness and hunger and even misunderstanding from friends. He is also tricked into joining bad Hugo and his sidekick, Sly who want to use his strength for their own benefit. With the help of the good insects, Buru escapes from Hugo and becomes the guardian to the larvae population. In the process of fighting the bad guys, he is transformed into the mythical Golden Warrior Beetle which he himself had no idea of.
Buru becomes good friends with other forest insects who even help him build a house. He also participates in festivals, sports outings and so on, strengthening his ties with others and generally leading a very happy life. During all that, he stands as the guardian and protector of the forest and its denizens against Hugo's gang.
Hugo's gang suffer continuous defeat, but undeterred, they enlist other bugs such as Hooks, the praying mantis, Acacia, the toxic moth and other new recruits into their group to try to get at the larvae in Noul Maroo. Many wonderful and exciting adventures of these insects unfold in the series such as when Buru, trapped in the dense forest controlled by Queen Hydro, the giant water bug. Slowly but surely, through all the different adventures, Buru emerges as a true hero. Out of ideas on how to defeat Buru and his friends, terrible Hugo decides to invite the legendary wolf spider called Wolfy to his cause. Wolfy, who was huge to begin with, shows that he, too, can transform like Buru which serves to shed some light on the source of Buru's secret power.

Episode 25: Danger at Noul Maroo
Wolfy commands Sting, Stung, Hugo and his gang and all the cockroaches to make an all-out attack of Noul Maroo. Noul Maroo is in peril, but Buru, instead of fighting, is confused. But with Grandpa the Thoughtful and Madame Butterfly's urging, he comes to realize where he stands and turns into Golden Warrior to fight once again. He thrashes Sting, Stung and other bugs and in the process Sting and Stung and Acacia abandon their intentions of attacking Noul Maroo and flee from Wolfy instead.

Episode 26 : The Final Battle
Wolfy the Red Menace enters the battle himself. As he comes attacking, there is Sting, Stung and others who have already decided to side with Noul Maroo insects. Buru, too, fight valiantly. Hugo does not take Noul Maroo's side but when all the insects have Wolfy at the edge of a cliff and are trying to push him down the abyss(at least to an insect; the water below is a rapid sewage from which no bug will likely ever be able to return from) he trips him up to make him finally fall. With Wolfy gone, peace returns to Noul Maroo. All the insects make up for the time being, but that doesn't mean that every one of them has become part of Noul Maroo family. For more adventures, tune in!
English to Korean: Book: New New Media by Paul Levinson (translated and published in Korea)
General field: Tech/Engineering
Detailed field: Internet, e-Commerce
Source text - English
Book: Chapter 7 (Facebook) of New New Media by Paul Levison
Translation - Korean
7장 페이스북
2008년 9월29일 뉴스에 이렇게 나왔다. 제임스 본드 비밀요원으로 유명한 영국의 M16(미국의 CIA와 같은)가 페이스북을 신규채용 도구로 사용했다(Havenstein, 2008). 페이스북에 실린 광고문자는, ”세계 중대사를 경험 할 수 있는 직업? 영국을 보호하고 세계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사람: 실무장교 직. 역할: 글로벌 기밀정보 수집 및 분석.”
생각해 보면 페이스북은 이러한 광고를 싣기에 아주 적합한 미디어다. 1억7천만 이상의 활발한 페이스북 사용자들이 있을 뿐 아니라 - 지금은 마이스페이스보다 더 많은 것 같고(마이스페이스는 활동/비활동 대한 정확한 구분을 않 함) 그리고 더 빠르게 성장하는 것은 확실함(Nakashima, 2009) - 페이스북 사이트 자체의 원동력이자 검문 역할을 하는 대학 커뮤니티에 그 근거를 두었기 때문이다. 다음의 진짜 제임스 본드나 에마 필(Emma Peel – Avengers라는 영화의 여 주인공)을 채용하기에 갓 졸업한 대학생들이 득실거리는 이보다 더 좋은 매체가 어디 있겠는가?
페이스북과 마이스페이의 다른 점은 무엇일까? 두 시스템 모두를 사용하는 한 친구가 -순전히 온라인 상의 친구로 만난 적 없슴 - 최근에 나에게 둘 중 어느 것을 더 선호하는지를 물어왔다. 그는 양쪽 시스템을 한꺼번에 이용하는 행위 자체가 “이상하게도 불쾌”하게 느껴진다고 하였다 - 답글, 현황 리포트, 등등 - 그래서 마이스페이스나 페이스북을 탈퇴할 것을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어려운 질문이라고 한 다음에 이렇게 대답했다. 얼마 전, 나도 댓글과 메시지와 양쪽모두에 있는 “친구”들을 관리하느라 짜증이 조금 났었다. 그렇지만 지금은 양쪽 모두를 사용하는데 있어 상당히 편해졌다고 했고, 어떤 면으로는 두가지를 다 한다는 것을 즐기기까지 한다고. 왜냐면 이 두개의 사이트가 내 관점에서는 각각 다른 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말이다.

마이스페이스 대 페이스북: 주관적 차이
소위 내가 말하는 “첫사랑 신드롬”에 의해 사이트에 대한 선호도에 차이가 대두되는데, 이런 현상은 온라인 시스템에서뿐만 아니라 영화, TV쇼, 소설에서도 볼 수 있다. 즉, 사람은 보통 처음 경험하는 것을 가장 사랑한다는 것이다. “반지의 제왕”3부작을 책으로 먼저 읽은 사람은 영화를 보고 즐겼을 지는 모르지만 대개 소설만큼 정확하지도 못했고 재미가 덜 했다고 평가한다. 반면에, 영화를 먼저 경험한 사람은 소설이 재미있긴 하나 가끔씩 두서가 없어 보였다고 생각한다. 영화를 먼저 본 사람들중에 많은 이들은 소설을 다 끝내지 못할 때도 있다. 정식적인 조사를 한 것은 아니지만 수년을 거쳐 많은 사람들과의 대화를 하면서 내린 결론은 이렇다. 만약에 같은 내용의 책과 영화 또는 같은 책과 TV쇼를 보았을때 어느 것을 더 좋아하는 지 물어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선호하는 것은 제일 처음에 경험한 것이라는 사실이다.
나의 페이스북 계정은 2004년에 시작됐다. 그 당시에는 페이스북 계정은 오로지 .edu로 끝나는 이메일 계정을 갖은 사람만 받을 수 있었는데 그래서 그런지 대다수의 회원들이 대학생들이었다. 내 아들은 초기 페이스북 열광자이며 하바드 대학생이었다. 하바드는 페이스북의 창시자인 마크 주커버그(Mark Zuckerberg)가 다닌 학교이면서 그가 2004년 2월 4일 처음으로 페이스북을 론칭한 곳이기도 하다. 나도 페이스북에 가입할 수 있었는데 그 이유는 Fordham 대학교수로서 .edu 이메일 주소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실 아주 가끔씩만 페이스북을 이용하였다. 왜냐하면 아들과 학생들 외에는 - 그들은 전화나 이메일로 손쉽게 연락이 가능하였다 – 특히 페이스북으로 연락해야 할 만한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현상은 온라인시스템과 온라인커뮤니티의 평가에 관한 중요한 점을 한가지 떠일깨워준다. 즉, 사이트들 간에 어떤 객관적인 차별과 혜택이 있던, 그 사이트의 최고 가치는 각기 개인 유저의 욕구를 얼마나 잘 충족시키느냐에 달려있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100 명과 연결이 가능한 온라인 커뮤니티가 있다고 하자. 그리고 어떤 한 사람에게는 이 100명과의 연락이 중요하고 반대로 나에게는 단지 몇몇과의 연결이 중요하다고 하자. 그렇다면 나보다는 그 사람에게 이 커뮤니티가 더 중요하고 가치가 있게 느껴질 것이다.
포드햄에의 한 학생의 권유로 나는 2005년 5월에 마이스페이스에 가입했다. 출판 홍보에 관한 나의 강의를 들은 그녀가 마이스페이스야 말로 책을 홍보하기에 적합한 곳이라고 조언해 주어서 마이스페이스에 가입한 것이다.
그러나 처음엔 그녀 외엔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어서 전혀 이용을 안 했다. 다음 해, 내 과학소설인 “소크라테스 대 구출”이 출판 되었던 2006년 2월까지 마이스페이스에 다시 돌아오지 않았던 것이다. 나는 즉시 “과학소설”이나 ”시간 여행”에 관심 있는 사람들을 찾아 보았다. 몇일 안돼어 나는 20명 정도의 친구를 만들었는데 - 그들 모두 실제 생활에서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모른는 사람들이었다. 이중 몇 명은 오늘날까지도 마이스페이스를 통해 계속 친분을 있다 - 지금은 친구가 6,000명 정도됨. 그들은 내 불로그와 프로파일 페이지에 들어와서 댓글을 달고 메시지를 보내거나 그들의 블로그에 초대를 하거나 할로윈데이나 추수감사절에 잘 지내라고 인사를 보낸다. 이들 중 내 책을 구입한 사람들도 약 4-50명이 있는데, 그것 때문에 이 사람들의 온라인 “우정”이 중요한 건 더 이상 아니다. 중요한 것은 - 정치적 이슈, TV쇼, 또는 영화에 대한 댓글을 공유하는 커뮤니티로서 – 몇몇을 빼놓고는 만난적도 없지만, 같은 커뮤니티에 속해 있다는 사실이다.

마이스페이스 대 페이스북: 객관적 차이
나의 마이스페이스 친구가 내게 – 마이스페이스로 - 마이스페이스와 페이스북 중에 어느 것을 더 선호하는 지를 물어봤을 때, 적어도 내게는 두 개의 시스템상에 객관적인 차이가 있다고 느꼈다. 즉, 내 실 생활속의 친구들이 마이스페이스에 보다 페이스북에 더 많이 공유한다는 사실이다.
실제 만남 없이 온라인상의 소통으로도 관계를 진전 시킬 수 있는 페이스북의 원래 구조, 즉, 학생들의 “만남”의 통로가 – 미리 온라인 상으로 반대 사람이 어떻게 보이는지, 관심사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슴 – 페이스북의 온라인 커뮤니티의 형성을 주도했다. 처음엔, 커뮤니티의 일원들이, 원한다면, 서로 쉽게 만날 수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이루어 졌다. 왜냐면 다 같은 학교를 다녔기 때문이다. 학생들끼리는 페이스북에서 만나기 이전에 이미 안면이 있었거나, 아니면 페이스북에서 만나서 그 후에 직접 만남을 가졌거나 결과는 동일했다. 페이스북이란 온라인 공동체는 실생활에 근거를 두었던 것이다. 나중에 페이스북이 1억7천만명의 액티브 사용자를 가지고 있는 마이스페이스의 경쟁자로 부각되면서도 실생활에 근거를 둔 기본은 지속되었다.
나는 현재 페이스북에서 나의 두 아이들과 9명의 조카들 그리고 5명의 먼 친척들과 “친구”관계에 있다. 또, 적어도 150명의 전,현 제자들, 개인적 친분이 있는 포드햄과 타 대학 교수 30명 그리고 작가로써, 라디오 쇼의 게스트로써 사업상 관련이 있는 적어도 20명의 사람들과 “친구”관계를 맺고 있다. 여기에 오프라인에서도 어느 정도 친분이 있는 100명 가량의 작가와 팟-캐스터를 더하고 - 몇몇은 아주 좋은 친구임 - 그리고 내 생애에 거쳐 맺은 적어도 수십명의 친구를 더하면 내 페이스북에 있는 2,000명에 달하는 “친구”들 중에 약 ¼ 의 비중을 이들이 차지한다.
반대로, 마이스페이스에서 만난 6,000의 “친구” 중에 겨우 100명을 알까 말까 한다.
마이스페이스는 페이스북과는 또 다른 객관적 차이점이 있다. 마이스페이스는 사용자가 프로파일 페이지의 모든 색상과 이미지 그리고 HTML(독립 블로그와 매우 유사함)을 통한 사운드로 마음대로 꾸밀 수 있도록 한 반면, 페이스북은 프로파일 페이지를 기본문구와 기본링크만을 연결 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여느 시스템에서도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점은 프로파일 페이지가 아니라 “친구”라는 사실이다.

지식기반 자료로서의 페이스북 친구
페이스북과 마이스페이스는, 트위터의 경우도(다음장 참조) 마찬가지, ”현황 바”가 내장되어 있다. 이는 온라인상에서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무엇을 느끼고 있는지를 계시 도구로 이용된다. 이는 또한 웹에서 답을 찾을 수 없을 때 질문의 수단으로 사용된다. 페이스북의 “친구찾기”는 - 나의 경우, 교수로써, 상당수의 전,현재 제자들이 대상 - 어떤 지식을 획득하기 위해 특히 좋은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아래 예를 보자.
2008년 11월 17일, 키이스 올버맨(Keith Olbermann)과 레이첼 매도우(Rachel Maddow)는 자신들의 MSNBC TV 쇼, “카운트다운”과 “레이첼 매도우”쇼에 아무런 이유 없이 나타나지 않았다. 올버맨의 자취에 대한 아무런 설명없이 다만 데이비드 슈스터(David Shuster)가 나와서 자기가 올버만쇼를 대신한다고 간략하게 말했다. 매도우쇼에서는 매도우 자신이 나와서 자기의 쇼를 다음 며칠 동안 대신 맡게 될 사람을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 첫째 날에는 아리아나 허핑턴(Arianna Huffington, 허핑턴 포스트의 설립자), 둘째 날에는 알리슨 스튜어트(Allison Stewart). 이 대리인들은 레이첼 매도우 쇼 맨 마지막 부분에 그녀가 “곧” 돌아올 것이라는 말로 끝을 맺었다.
MSNBC사에서 아무 언급이 없었을 뿐 아니라 두 사람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궁금해 하는 몇 몇 사람들을(아놀드 2008) 제외하고는 웹에서도 이것에 대한 아무것도 찾아 볼 수가 없었다. 짐작하건대 그들이 일종의 휴가를 떠난 것 아닌가 했는데…
그래서, 페이스북에 있는 나의 ”상태”에 질문을 적어 올렸고 당연히 나의 옛 제자 중 가장 똑똑하고 유식한 마이크 플류(Mike Plugh)가 대답해 왔다(레빈슨 참조, “올버만과 매도우가 어디로 사라졌을까?, 2008)
휴가 갔을 겁니다. 선거때문에 한 수간도 못 쉬었었지요, 그 사람들. 아마 레이첼은 에어 어메리카 쿠르즈를 행운청취자와 타고 있을 겁니다. 올버만은 어쩌면 자기 지하실에서 “SNL”에 나온 벤 애플릭(Ben Affleck)의 연기를 반복해서 보고 있을 지도 모릅니다(Ben Affleck은 올버만의 성대묘사를 너무나 우습게 거의 똑같이 했었다).
마이크는 멋지게 답을 제공했을 뿐 아니라 정보 자원으로서 뉴뉴 미디어의 가치에 대한 아주 중요한 교훈을 주었다. 올드 미디어의 소식통이 미흡하고, 웹 상에서의 “구식” 정보찾기도 답을 못 주면, 독자 작가 정보 제공자의 행새가 가능한 뉴뉴 미디어를 통해 답을 찾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런 차원에서 페이스북과 마이스페이스는 위키피디아보다는 한 발작 앞서있다. 즉, 뉴뉴 미디어 세계 전체가 하나의 커다란 백과사전이 되면서 온라인의 어느 친구든지 질문의 해답원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시간 지식자료로서의 페이스북 친구
2008년 11월 21일 지금 이 글을 쓰면서 나는 동시에 페이스북을 하고 있다. 페이스북 친구인 제임스 윈스톤(James Winston)이 (개인적으로는 만난 적은 없지만) 자기가 쓰고있는 논문에 대해 한 두가지 질문을 해도 되는지를 물어왔다. 제임스는 노던 일리노이즈 대학(Northern Illinois Univ.)에서 커뮤니케이션 & 미디어를 공부하는 학생이다.
그의 질문은 “정보의 과부하”에 관한 것이었다 – 내가 웹이 과부화에 일조한다고 생각하는지, 그리고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이런 문제에 대한 대처기능을 충분히 가르쳐준다고 생가하는지 물어왔다.
나는 설명했다. “과부하”가 문제가 아니라 “부족한 정보”에 어떻게 대처하는가 이다라고. 즉 성공적인 웹의 이용을 위해 뉴뉴 미디어를 최대한 활용하게 해 줄만한 정보가 모자란다는 것이 내 대답이었다. 결국 인간들에게는 다중처리 유기체가 내재되어있지 않은가. 나는 그 학생에게 제임스 윌리엄(William James)의 “혼란을 꽃피움”의 세계 그리고 이것이 통달 할 수 있는 인간의 능력에 대해 알아보라고 했다(제1장 현재의 볼룸 참조). 현제로 보자면 항로자료만 정확히 있다면 아무리 많은 정보가 쌓이더라도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 – 도서관이나 책방의 어마어마하게 많은 책들에 불구하고도 그 안에 정확한 항로 시스템이 있는 걸 알기 때문에 사람이 압도당하지 않듯이 말이다. 우리는 어렸을 때부터 어떻게 도서관과 서점에서 길을 찾는지를 배워왔다(레빈슨 1997 참조, pp134-135, 그리고 “마크 모라도 인터뷰” 2007는 “과부화”, ”부족부화?”에 대한 더 많은 정보 참조).
대학 차원에서의 교육에 대해선 이렇게 대답했다. 대학에서 뉴뉴 미디어에 대한 교육을 어느 정도는 실행하고 있지만 이러한 미디어의 이용법을 배우는 가장 좋은 방법은 실제로 사용하는 것이다 라고 말이다(존 듀위, John Dewey 1925, 제1장에서 이미 다룸).
제임스에게 답을 하는 과정에서, 그와의 대화가 - 그는 페이스북을 통해 질문과 답이 오가는 상황 - 상호적인 지식의 장으로서뿐 아니라 실시간 정보의 좋은 본보기의 한 예라는 것을 깨달았다. 둘 사이의 이 대화를 이 책에 수록하게 될 지도 모르겠다고 제임스에게 말했으며 그는 흔쾌히 동의했다. 위의 모든 일들이 이 장을 쓰기 몇 분 전에 일어난 것들이다.
또한 제임스에게 책이 나오면 한 권 보내주겟다고 약속했다. 독자가 이 책을 읽는 즈음, 제임스는 이 책을 이미 받았을 것이다. 그리고 바로 이 부분을 지금 읽고 있을 지도 모른다.
제임스는 한가지 질문을 더했다. 웹의 혜택과 내용이 어린 사람들(Y세대)에게 좀 더 유용하다고 생각하는가 였다. “미디어의 매체”라고도 불리우는 인터냇은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나는 답했다(“디지털 맥루한”1999).
제임스는 내게 감사하다고 말했다 - 그의 질문에 대한 답변과 또 이 책에 자신을 삽입시켜 준 것에 대하여 – 그리고는 나중에 또 질문이 있으면 연락해도 되겠냐고 해서 얼마든지 그렇게 하라고 대답해 주었다.
그리고 대화는 끝났다. 제임스가 필료한 자료를 욕구시켜주는 나의 지식의 역할은 그렇게 간단했다. 그는 일리노이즈에 있었고 나는 뉴욕에 있었지만, 서로 지구의 반대편에 있었던들 아무 문제가 없었을 것이다. 또 이런 대화는 제임스와 다른 교수들, 또는 다른 학생들과 나, 또는 교수나 학생 등 누구든 두 사람 사이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수월하게 일어날수 있다. 뉴뉴 미디어 세계에서는 그 어느 시대보다 지식을 쉽게 취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내가 제임스에게 악의로든지 아니면 무지 때문인지 간에 잘못된 정보를 주게 된다면 어찌될까? 만약에 이런 일이 있다면, 제임스는 웹상의 내 글들을 찾아 정확성을 확인해 보는 작업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제4장 위키피디아에서 살펴 보았듯이, 뉴뉴 미디어는 지식정보를 제공해 줄 뿐 아니라 이를 체크하고 개정까지 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준다.

사회/정치 세력으로서의 페이스북 그룹
마이스페이스와 페이스북은 모두 “그룹”이라는 게 있다 - 즉, 글이나 사진, 비디오 같은 관심사를 공유하고 토론하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실제로 그룹 또는 포룸과 메시지 보드 같은 유사한 온라인상의 활동은 1980년대 부터(레빈슨 1997 참조) 온라인 세계의 기초가 되었던 요소이다. 차이는, 이런 그룹들이 페이스북을 통해 대단한 사회활동과 날카로운 정치세력을 가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페이스북의 “버락 오바마(버락을 위한 100만 세력)”그룹은 2008년 11월 4일 선거 이후에도 계속 성장하여 2009년 5월 현재 회원수가 100만명 이상이 되었다. 이런 단체들은 순식간에 형성될 수 있다(마이 스페이스에서도 마찬가지로 빨리 생성 가능하다). 주제를 선택하고, 짧은 설명과 현재까지 발전된 상황에 대하여 간단하게 한두 문단 정도 서술하고, 사진을 업로드한 뒤 친구들을 초대하면 되는 것이다.
“One Million Strong”그룹은 “관심분야:정치” 카테고리 속에 포함되었었다. 이 사이트에 대한 설명은 “이것은 가장 큰 오바마 페이스북 그룹이다. 우리는 공식적인 선거 캠페인 이전부터 활동 하였으며 자원자, 후원자, 기부자들의 도움으로 활동하고 있다.” 선거를 이긴 후 “우리가 해냈어…”라고 사이트에 덧붙였다.
그러나 페이스북은 미국만에서만 이용되는 사회적 매체가 아니다. 그 안에서 성립되는 그룹들은 전세계적 사회활동의 매개로써 활동을 한다. 에릭 숀(Eric Shawn)이 Fox News(2008년 12월1일)에서 2008년 2월에 보도했다. 전세계 190개의 도시에서 1천2백만명의 사람들이 콜롬비아의 테러리스트 그룹인 FARC에 반대하기 위하여 “가두시위”를 벌였는데 이는 페이스북 그룹에 있는 “FARC에 반대하는 백만의 소리”라는 그룹이 오스카 모랄레스(Oscar Morales)의 조직을 반대하기 위한 시위라고 보도했다. 미 국무부의 제러드 코헨(Jared Cohen)은 숀에게 이렇게 설명했다. 페이스북 때문에 “침실에서도 사회활동가 역할을 할 수 있다”
아무리 미비하거나 특이한 주제라도 페이스북을 통해 그것에 대한 그룹을 형성하기가 얼마나 쉬운지 - ”오바마를 위한 100만의 세력”과 “FARC 반대하는 100만의 소리”처럼 대중을 향한 그룹과 반대로 – 아래 예를 보자:
2008년 추수감사절 주말, 금요일 저녁 늦게 나는 집으로 돌아왔다, 이날은 인도 뭄바이에서 테러가 발생한지 사흘째 되던 날이었다. 이것에 대한 뉴스를 알아볼려고 가장 좋아하는 뉴스채널 MSNBC를 틀었으나 거기서 나오는건 고작 MSNBC의 “Doc Bloc”이었다. 그것도 수년 전에 “카메라 고발”이라는 이미 녹화된 프로였다.
나는 여러 개의 블로그에 이렇게 글을 써서 올렸다. “뭄바이가 불타고 있는 이 순간 MSNBC는 사건 보도 대신 예전에 녹화된 다큐를 재 방송하고 있다”와 같은 문구를 Infinite Regress블로그에 올렸고, 그리고 이에 대한 사람들의 댓글과 이메일을 보며 많은 사람들이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MSNBC 시청자 모두 원하는 건 24시 365일 뉴스보도였다. 현시대 전 세계 모두가 바라는 바이었다(제11장에서, 페이스북과 트위터 같은 뉴뉴 미디어가, MSNBC같은 올드 매체와 달리, 뭄바이의 테러리스트 공격과 그의 결과에 대한 결정적 초기보도를 어떻게 제공하였는지를 보자).
MSNBC는 최고의 인터넷과 TV의 파트너쉽으로 1990년에 출범했다, 즉 구(NBC)와 뉴(마이크로소프트)와의 결합인 것이었다. 나는 뉴뉴 미디어의 소셜 파워로 TV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시험해 보기로 하였다 – 페이스북을 이용해서. 그리고 2008년 12월 1일, 나는 페이스북에 MSNBC는 “Doc Bloc를 중지하라”라는 그룹을 만들었고, 설명란에는 위 “금요일 저녁 나는 늦게 집으로 돌아왔다…” 로 시작하여 다음과 같이 이어갔다.
이 페이스북 그룹에 여러 사람이 가입하는 그 자체로 MSNBC가 시청자들과 자사를 위해 무엇이 중요한지 - Doc Bloc를 중지하는 것 – 을 인지한 후 우리가 정말로 원하는 뉴스를 제공해 주길 바란다! 다른 뉴스 중독자들 모두에게 이 FB그룹에 대해 홍보 부탁함!!
그리고, 페이스북에 있는 1,600여명의 내 친구 중에 약 1,500여명을 초대했다. 한 유저 당 최대 300개의 그룹에 가입 할 수 가 있는데, 그 이유때문에 다른 100명은 제외되어야 했다. 나는 퍼블릭 도메인의 빨간색 stop 사인을 다운로드 했으며, 무료 GIMP프로그램(포토샵과 흡사)를 이용하여 stop사인 아래에 “DOC BLOC”를 써놓았다, 그리고 이 이미지를 그룹에 올려놓았다. 2시간도 채 안되어 카페의 회원이 50명 이상이 되었다. 24시간 후에는 150명의 회원이 되었는데 그 중 최소 15명은 내가 직접 초청하지 않은 사람들이었다. 바로 이런 것이 바이럴 마케팅의 산 예이다 - 이 경우엔 사회의 유익을 위해서. 누구나 페이스북에 있는 카페에 가입을 할 때마다, 그것에 대한 “통지”가 가입자 카페 페이지에 공지되고 또 가입자의 모든 친구들에게 보내진다. 이런 통보를 받은 친구 또한 그룹에 관심을 갖게 된다면, 똑 같이 가입 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해서 계속 반복 되는 것이다.
2009년 5월 “Doc Bloc를 중지하라”는 겨우 300명의 회원이 조금 넘는 카페였고, MSNBC는 주말프로그램을 조금도 변경하지 않았다. 모든 그룹이 성공할 수는 없다. 그러나 미래에 이 그룹이 어떤 변화를 일으키어서(월 별 소수의 새로운 댓글 또는 “벽보”가 꾸준히 올라오고 있다) MSNBC 프로그램에 어떠한 영향을 줄지는 예측할 수 없는 일이다. 아무쪼록, 페이스북 그룹의 영향력은 누구도 부인 할 수 없으며 그러한 이유로 올드 미디어와 그 유저들마저도 페이스북 그룹을 이용하여 각자의 입지를 성립하려고 노력한다. 마크 헌터(Mark Hunter)는 자신의 팟-캐스트에서(2009년) 페이스북에 올라온 “신문을 구독하여 한 명의 저널리스트라도 살리자”라는 모토 아래, “신문이 죽도록 놔두지 말라”라는 명분(“명분”은 특별한 그룹임)에 관하여 소셜미디어의 아이러니를 지적했다. 아이러니한 것은, 최신 뉴뉴 미디어를 이용하여 – 비록 몇 명이 페이스북을 통해 뉴스를 받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 올드 미디어의 생존을 애원한다는 사실이다. 물론, 이런 어필이 해가 될 수는 당연히 없겠고, 신문 애독가들로 인해 이런 명분그룹(cause-group)이 형성되었다는 그 자체가 그들이 뉴뉴 미디어의 영향력을 인지한다는 사실일 것이다. 2009년 5월에 “신문을 죽게 놔두지 말자”라는 그룹은 80,00명이 넘는 회원을 자랑하고 있다 - 아마도 신문의 감소를 멈추기에는 충분하지 않지만 말이다. 물론 신문이 당장 완전히 죽는 처지에 빠진 것은 아니다(제2장 참조, 올드 미디어 조사보도를 지속적으로 필요로 하는 블로그사이트에 대한 논의).

수 많은 지역 정치적 펍으로서의 페이스북
페이스북에서 이뤄지는 모든 그룹이나 토의가 꼭 주요 이슈나 어떤 정치 후보에 대한 것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 그룹이나 그 안의 토의 주제를 쉽게 생성시킬 수 있다는 사실은 거대한 페이스북 집회 외에도 수많은 작은 그룹이 존재할 수 있다는 걸 사시한다. 그리고 이런 “모임”이 정치성을 띨때는 옛적의 펍(pub: 미국 식미지 시대에 동내 사람들이 술을 마시며 대화를 하기 위해 모이던 술 장소, 그 유래는 영국) 같은 느낌을 들게한다.
옛적의 오프란인 펍은 어떤 느낌을 주었을까? 뉴욕의 East Village 3번가 64번지에 있는 펍, 빌리지 포어하우스(Village Pourhouse)의 뒤쪽 방에서, 나는 2007년 8월 28일 저녁에 NYC의 론 폴(Ron Paul)을 지지하는 ‘Meet-Up’그룹과 만난 자리에서 공화당 대통령 지명자를 위한 선거 캠페인 중에 론 폴이 대중매체의 홀대와 부실보도에 쌓여 있다고 연설하였다. 대중매체 행위(제5장 “론 폴과 올드 미디어”참조)에 대한 역사적인 선례와 철학적인 맥락을 짚어 보고 해결책을 재시했다. 약 30여명의 참석자가 있었다. 유리잔 울림과 기쁘고 활기찬 건배 소리를 배경으로 우리는 존 밀톤(John Milton), 토마스 제페슨(Thomas Jefferson), 미합중국 헌법제정 그리고 이 나라를 세운 이상적인 것들에 대하여 토론했다(레빈슨 2007, “8월28일의 유튜브”참조).
위에 대한 비디오가 나간 후 바로 다음 날부터 댓글들이 올려졌고, 한 블로거는 이야기 하길 “혁명기원의 많은 창시자들이 펍에서 행동을 계획하고 정책을 토론하며 시간을 보냈었다. 나는 론 폴과 미디어에 대해 논의 할 장소중 펍만큼 적합하고 숭고한 자리는 있을 수 없다고 믿는다. 바라건데 석상에 있었던 모든 사람들이 열심히 동참했기를 바란다(펍 주인을 행복하게 하기 위해서라도). 작은 테이블이라도 마련해 놓았다면 머그를 들어올려 건배를 외친 후 목을 추길 수 있어 보이던데, 아쉽다…몰지각한 주인 같으니…. 뒤의 배경은 아주 훌륭했다.”
페이스북에 가상 펍의 장점은 펍 호스트의 서비스가 필요없다는 것이다. 사실 아무 서비스도, 특히 목을 추기는 건 필요 없을 수 있다. 왜냐면 구두로 토론을 하는게 아니라 글자로 하니까. 그리고 회의는 비 정규적으로 며칠, 몇 주, 몇 달, 몇 년을 걸쳐 계속되어도 상관이 없다.
페이스북 자유당 그룹에는 12,000명의 회원이 있으며 나도 이곳에 가입해 있다. 그리고 “나는 진보적인 자유주의자다”라는 블로그를 기초로 한 주제로 토의를 시작했다(레빈슨 2008). 이 주제를 맨 처음에 650글자로 내 Infinite Regress 블로그에 올렸을 때는 6개월이 걸려 겨우 30개의 댓글이 붙었고 그 중 절반이 댓글에 대한 나의 댓글이었다. 그런데 페이스북에 주제를 올려놓은지 하루도 안돼 60개의 댓글이 올라왔고 이중, 내가 올린 것은 10개 미만이었다. 빌리지 포어하우스에서의 청중과 마찬가지로 마찬 가지로 페이스북 토론자의 대다수가 대학생이었다. 다른 점은 이들이 전국에 흩어져 있다는 것이었다. 더 중요한 것은 이 토론이 참가자들이 원할 때까지 계속 이뤄질 수 있으며, 새로운 참가자가 도중 어느 때라도 들어 올 수 있다는 것이다. 온라인 정치적 펍은 시간과 장소에 무관한 뉴뉴 미디어의 특성을 함유하고 있다.
만약에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이 펍이 아닌 페이스북 그룹에 참여하였었다면 나라를 더 효과적으로, 더욱 좋게 이끌을 수 있었을까? 타임머신으로 시간을 되돌려 역사를 바꾸지 않는 한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있을 수 없다. 그래도 페이스북과 다른 뉴뉴 미디어를 통해 일어나는 정치적 양성이 어떤 것인지, 흥미로울 것이다.

온라인상의 친구를 현실세계에서의 만남
페이스북의 초기논리의 두 부분 - 알고 있는 친구에 대하여 페에스북에서 찾아보거나, 페이스북 상으로 얼굴은 보았으나 모르는 이를 실제 학교 내에서 찾아보는 두면 -은 사람들이 온라인을 뛰어넘어 실제에서 우정이나 관계를 맺을 거라는 가정에서 시작되었다. 학교내에서는 안전성이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았다. 페이스북을 통해 알게된 사람을 학교 카페테리아 같은 공공 장소에서 다른 친구들과 함께 쉽게 만날 수 있었다. 이러한 배경의 만남은 마이스페이스를 통해 가끔 이루어지는 대면 미팅과는 상당히 다르다. 즉 두 사람이, 실제 캠퍼스에서는 아무 연관이 없는, 온라인 상에서 서로를 “알게됨”에 따라 현실에서 만나게 되는 것을 이야기 한다. 이러한 미팅은, 이전 장에서도 보았고 앞으로 제11장 ”뉴뉴 미디어의 어두운 측면”에서도 더 자세히 살펴보겠지만, 정말 위험한 요소로 꽉 차 있다.
그런데, 페이스북이 캠퍼스를 넘어 마이스페이스와 유사하게 확장되면서 온라인상의 친구를 현실에서 만나는 행태를 취하게 되었다. 그런 만남이 위험하든 득이 되든 알 수 없지만. 마이스페이스를 통한 만남과 같이 사람을 안전하게 직접 만날려면 첫째 공공장소에서 만나거나 아니면 직업과 관련된 장소에서 만나는 것이 좋다. 공공장소의 좋은 예로 레스토랑을 들수 있고 사무실은 온라인상으로 연결된 잡-인터뷰를 하기에 적합한 장소이다.
안전성을 차치하고라도 (제11장 참조), 디지털 코드가 인간으로 전환될 때, 어떻게 온라인 상의 관계가 대면관계로 전환되는지에 대해서 우리는 무엇을 아나? 1996년 “The Soft Edge: 자연사와 미래정보의 혁명”(1997)에 기술 한 것과 같이, 1980년대 중반 이후로 많은 사람들이 온라인 미팅을 하고 사랑에 빠지고(e하모니는 현재의 소셜매체가 현실세계의 로맨틱한 관계로 가기 위해 많은 공헌을 한 좋은 예가 될 수 있슴), 또 온라인 회의를 하고 이를 성공적인 사업관계로 이어가고 있다.
나는 두번씩이나 온라인으로 시작하여 전문적인 관계로 발전 한 사례의 일원이었다.
1985년부터 1995년까지 내 처인 티나 보지크와 나는 Connected Education을 만들고 관리했다. 석사과정을 수려 할 수 있는 최초의 온라인 프로그램이었으며, 미디어 학과 석사학위(MA)를 완전히 온라인으로만도 가능케 했다. 미 전역 40개 넘는 주와 전세계 20개국의 나라에서 수 천명의 학생들이 등록을 하고 이들은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Polytechnic University, 영국의 Bath College for Higher Education, 그리고 그 왜에도 수 많은 대학에서 학점 인정을 받을 수 있었다(자세한 것은 1997년 레빈슨 참조). Connected Education 에 등록한 학생 중 직접 알던 학생은 5% 미만이었다. 그리고 또 약 5%를 – 이전에 만난 적 없는 학생들 중에 – 더 만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미국 내에서 또는 해외에서 개최되는 컨퍼런스에 참석을 했을 때 또는 무슨 일로서 혹시 학생이 뉴욕에 오게 되면 말이다.
처음으로 온라인 상에서의 인연을 직접 만났을 때 고지한 점이 있는데, 다른 온라인상에서의 학생, 친구 또는 지인들과의 그 이후에 만남에서도 같은 느낌이었다. 즉, 직접 만남에 대한 초기의 충격은 겨우 몇 분간만 지속되고 결과적으로 건너 편에 앉아 있는 사람에 대해서 온라인상으로 받았던 똑 같은 느낌을 인지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 당시에는 - 1985년에서 2000년 초까지 – 특히 대부분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미지나 사진 없이 문자로 온라인 주고 받았었다. 글만 가지고 상상했던 사람을 직접 보고 목소리도 듣고 그의 성품을 직접 확인해 볼 수 있게 되었으니 되었으니 몇 배로 더 낯 설 수 있었다. 즉, 온라인 상에서 알았던 사람과는 매우 다른 사람과 한 방에 건너 앉아 있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았다. 그러나, 사실은 정 반대였다.
또 다른 상황은 이렇다. 전문적인 일로 인해 온라인상에서 알게 된 사람들 중에 상당수와 직접 만나게 되었다 – 이 온라인 커뮤니티의 무려 50% 나 되는 사람들을. 주로 작가들과 과학소설 출판사들이 CompuServe와 GEnie와 같은 다양한 온라인 시스템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던 때인 1990년대 초반에서 중반 사이에 일어났다(레빈슨 1997 참조). 그 당시 나는 막 과학소설을 출간 한 때였고, 1998년에 미국 과학소설작가 회장직을 맡기도 했었다. 그로인해 회장직 전 후로 하여(1998-2000년까지 엮임), 나는 수백 명의 작가와 수십명의 출판업자 그리고 편집자를 크고 작은 회의에서 직접 만날 수 있었는데 그들과는 이미 온라인 상으로 서로 정보를 교환하여 알고 지낸 이들이 대부분이었다. 학생들괴의 사례와 마찬가지로 직접 대면했을 때 그들의 온라인 모습과 실제 모습이 일치한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발견 할 수 있었다.

온라인에서 옛 친구와의 재 접촉
온라인에서 만난 친구를 실제로 만나는 것과는 반대로, 실제로 아는 친구든지 또는 알지만 오래 동안 연락두절 되었던 지인들을 온라인을 통해 재 접촉하는 사례가 있다. 이러한 일들이 내겐 벌써 10년이상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대부분은 오래된 친구들이나, 동창, 또는 옛 제자들이 TV에서 나를 보고 이메일로 접촉해 오는 것이다. 2000년 새해 첫날, 나는 폭스 뉴스의 “뉴 밀레니엄: 과학, 소설, 판타지”라는 코너의 패널로 나갔었다. 얼마 후에 나는 1963년 이후로 단 한번도 못 만났던 고등학교 동창인 필릭스 폴즈(Felix Poelz), 그리고 1972년 ”Twice Upon a Rhyme”이라는 앨범을 함께 발표한 기타리스트인 피터 로젠탈(Peter Rosenthal, 그와 나는 70년대 중반 이후로 연락이 끈켰었음)로 부터 이메일을 받았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많은 옛 제자들로부터 이메일을 받았다. 이러한 것들은 21세기 소셜 미디어의 세기가 등장하기 이전에 이미 사이버공간의 위력, 즉,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힘을, 친구들과 지인들과의 연결로서 보여주는 이른 조짐이었다고 할 수 있다.
2006년 초에 나의 마이스페이스 이용이 늘으면서 위와 같은 연결이 좀 더 빈번해졌지만 페이스북에는 비할 수준이 못 되었다. 대학 캠퍼스에 유례된 페이스북은 이런 온라인 연결을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 올리었다. 페이스북에 있는 약 2,000명의 “친구”들 중 적어도 100명은 수년간 연락이 끊켰던 옛 제자들과 친구들이었다. 요즘도 매주 한 두 명의 옛 지인으로부터 친구 요청을 받는다. 페이스북에서는 졸업연도로 분류한 고등학교나 대학교 동창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필릭스의 이름은 페이스북에 나와 있는 1963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고등학교 졸업자 명단에는 없었지만(그는 페이스북 회원이 아님), 100명 정도의 이름 중에 낯 익은게 꽤 있었다.
온라인상의 실제로는 모르는 “친구”를 대면하는 것이 뉴뉴 미디어 소셜 미디어의 취약점이라면 옛 친구들과 지인들과의 연락이 다시 될 수 있다는 점은 소셜 미디어의 가장 감동적이며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우주 자체를 지펴보는 사물일 뿐이라고 한 칼 세이건(Carl Sagan, 1978)의 말에 동의한다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옛 친구들 지인들과의 재결합은 우주 자체를 연결하는 바느질거리라고 할 수 있겠다.

“숨겨진 차원”을 위한 보호: 온라인 페이지 정리하기
모든 뉴뉴 미디어의 자가-제작의 “숨겨진 차원”은 다름이 아니라 웹상에서 한번 저술되거나 창조된 것은 영원히 인고된다는 사실이다. 이 문구는 에드워드 T. 홀(Edward T. Hall)이 인터넷이 있기 오래 전, 인간관계에 있어서 사람과 사람과의 거리적, 공간적 중요성을 다룬 1966년의 책 제목에서 빌렸다. 대화의 진행과 그 결과에 미치는 강력한 요소를 사람들은 등한시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었다. 요즘 사람들은, 마찬가지로, 긴 생명력을 내포하고 있는 블로그나 유튜브 비디오, 또는 마이스페이스, 페이스북 페이지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한번 올려 놓은 이미지나 글이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존재 할 수 있고 또 사람들에게 읽혀 질 수 있어서 처음에 의도와 다른 결과를 낳을 수도 있는데 말이다.
나는 2006년에서야 블로그를 시작했지만, 내가 수 십년 전에 쓴 글들이 지금에 와서도 구글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다행히도 내가 저술했거나 온라인에서 작성한 모든 것들은 - 마이스페이, 페이스북 포함 - 개인적이 아닌 직업과 관련된 것 들이었다. 그래서, 1990년 초에 내가 GEnie(The General Electric Network for information Exchange)에 올린 과학소설에 대한 댓글이나(레빈스 1997 참조), 1976년에 처음으로 출간된 기사나(The Media Ecology Review에 실린 “쌍방향 미디어를 위한 재정립”) 또는 1972년에 발표한 “Twice Upon a Rhyme”나(2008년에 한국의 Big Pink사에 의해 CD로 재 제작됨.) 지금 보더라도 나는 특별히 부끄러울게 없다. 사실, 이 모든 것들이 오히려 자랑스럽다.
마이스페이스와 페이스북 대부분의 회원들은 자신들의 페이지를 직업상으로가 아닌 사적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아마 지금 즘은 페이스북 계정을 갖고 있는 학생이라면 개인 신원상의 위험성을 잘 알것이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 상에 파티에서 술이 취해 정신을 잃었거나 그런 류의 사진을 올렸다고 하자. 그리고 일, 이년이 지난 후 취직과정에서 상사가 될 사람이 그러한 사진을 우연히 보게 된다면 그 상사가 상사가 아니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술 취한 사진 한장이 직장을 잃게 한 것이다.
이상적인 세계에서는, 미래의 상사는 2년전(아니, 이틀 전이었더라도) 그 사람이 파티에서 무엇을 했던지 신경 쓰지 않을 것이다. 일터에서 어떻게 업무를 실행할 것인가만이 중요할 것이다(이런 주장을 난 2004년 폭스 뉴스의 “The O’Reilly Factor”라는 프로의 객원으로 참가하여 빌 오라일리(Bill O’Reilly)에게 말했다. 즉, 휴가 중인 방송국의 앵커가 젖은 티셔츠 컨테스트에서 옷을 벗은 일을 옹호한다는 것이 나의 의견이었다 - 레빈슨 2004 참조). 또는, 지인만이 사진을 버게 하는 이상적인 상황을 꿈구어 볼 수 있다. 그리고 페이스북은 제한된 사람에게만 계정을 공개시키는 옵션을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문제는 이런 조취도 자신의 사진이 선의 뜻으로 포스팅 되는 것을 막을 수 없다는 것이다. 특히 온라인상에서 음악에서 비디오 사진까지 모든 것들이 쉽게 복사되어 이런 보호막의 가치가 없어지는 현실이다. 또, 인간의 본성이 앞에서 말한 자기의 절재를 쉽지 않게 한다.
결론적으로 황당하게 여겨질 사진이나 다른 뉴뉴 미디어의 창작물에 대한 최고의 해법은 이것이다 – 그런 종류의 자료는 아예 올리지 않는 것이다. 만약에 올렸다면, 더 이상 그 가치를 못 느낄 때 빨리 내리라는 것이다. 그러나 항상 기억해 둘 것은 바이럴 보급과 온라인 수단을 감안 할 때 페이스북에 올려진 모든 콘텐츠는 이미 누군가의 페이지, 웹 사이트 또는 컴퓨터에 옮겨 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말로, 페이지를 깨끗이 지워야겠다고 작업을 결정했을 때 이미 그런 행동이 헛 수고일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모유 수유하는 사진이 페이스북에서 금지되다
마이스페이스와 페이스북은 또 사용자들이 올린 사진 또는 이미지를 깨끗이(clean up) 하고자 노력했다. 몰론, 처음에 기대했던 것보다 더욱 어렵다는 것이 증며되었지만 말이다.
2008년 말 즈음에, 페이스북은 포르노 류의 사지들을 전폭적으로 제거하는 작업에 나섰다. 그러한 사진이 페이스북 정책상 허용된 적도 없었지만 그렇다고 중앙 시스템에서 모든 사진을 완전히 감시 할 수도 없었다. 아무튼 “불쾌한” 포르노성 내용에 여성의 가슴노출도 포함되 있었다(마이스페이스도 유사한 규정이 있다). 그러나 리사 M. 크리거(Lisa M. Krieger)가 Sun Jose Mercury News(2008)에서 보도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정책이 엄마가 아이에게 젓 먹이는 사진이 “외설적이거나 포르노 또는 노골적인”것 과 같은 것으로 평가되어서 회원들의 페이스북 페이지에서 삭제되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설명하였다. 이것은 바로 온라인과 현실상에서 페이스에 대한 반발을 유발했고 페이스북에 수유하는 사진을 대한 찬성, 반대하는 다양한 그룹들을 초래했다(페이스북 그룹이나 cause를 찾아보면 더 자세한 내영을 알 수 있다).
아이러니 한것은 40개 주에서만이 공공장소에서 수유하는 것을 허용한다는 사실이다(궁금한 것은 왜 50개 주가 안되느냐는 것임. 아가들은 공공장소에서는 배고플 권리가 없다는 말인가? 왜? 점잖은 양반의 눈에 가실까봐? 그냥 다른데를 쳐다보는게 가장 현명한 방법이 아닐까?) 크리거에 의하면 페이스북에서 알리길, 대부분의 수유사진은 제거되지도 않았고 제거하지도 않을 것이다. 다만 유륜(유두 주위의 검은 부분)이 보이는 사진들만 제거한다는 것이었다.
뉴뉴 미디어 학생들에게 있어 이 이야기의 교훈이란 뉴뉴 미디어를 자신과 삶과 욕망의 연장으로 아무리 생각한다 하더라도(인간의 “연장선”으로서의 모든 미디어에 대한 맥루한의 관점” 1964), 사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 적어도 전체는 아니다. 그리고 뉴뉴 미디어시스템이 자신의 소유라고 아무리 느낄지라도 - 엄청난 제작의 힘과 뉴뉴 매체 자가투영을 제공해준다는 이유로 - 뉴뉴 미디어는 온전히 자신의 것이 될 수 없다. 페이스북의 경우 거기서 생성되는 뉴뉴 미디어의 일부는 페이스북의 소유이다. 이런 것은 위키피디아에서도 디그에서도 또 향후 이 책에서 검토 할 모든 뉴뉴 미디어에도 적용된다. 이 심오하고 근본적인 불변의 원리는 올드 뉴 그리고 뉴뉴 미디어에 있어서 아무 차이가 없다. 그렇다고 이제까지 보아온 뉴뉴 미디어와 올드 미디어 사이의 깊은 차이가 없다는 것은 아니다. 확실한 차이가 있다. 다만 뉴뉴 미디어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 책에서 살펴 보았듯이 여러 뉴뉴 미디어가 계속적으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내고 있다 – 구 독재권력과 새로운 민주주의 사이의 갈등처럼 - 그들만의 방법으로. 위키피디아는 페이스북과 마이스페이스 보다는 자체 페이지 제거성이 훨씬 덜 “구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키피디아 입장에서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문구나 기사, 사진이 있다면 독자/편집자의 그룹에 의해 여전히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위키피디아는 권위주의와 전문적인 통제를 좀 더 민주적인 그룹 통제로 대체하였지만 그렇다고 개인의 표현을 통제하거나 제거하는 권리를 포기한 것은 아니다.
뉴뉴 미디어 중에 개인의 표현을 가장 무제한으로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최상의 방식이 바로 트위터인 것이다.

Translation education Master's degree -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Experience Years of experience: 33. Registered at ProZ.com: Oct 2013.
ProZ.com Certified PRO certificate(s) N/A
Credentials Korean to English (Korean Society of Translators)
English to Korean (Korean Society of Translators)
Memberships N/A
Software Adobe Photoshop, Microsoft Excel, Microsoft Word, Powerpoint
Bio
No content specified


Profile last updated
Oct 4, 2013



More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Korean to English - English to Korean   More language pairs